Network/Basic
RTP 프로토콜 (Real-time Transport Protocol)
조기축구아저시
2023. 1. 8. 15:35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실시간의 특성에 따라 UDP를 기반으로 (데이터그램 분실이나 도착순서 변경 등의 오류을 해결한다? RTP 프로토콜은 시퀀스 정보의 메타만 적고 RTCP에서 관여한다. -확인 필요-)
기본적으로 RTCP(RTP Control Protocol)와 함께 사용되는데 RTP 패킷 스트림 내에 포함되어 주기적으로 세션 내의 latency, Bandwidth 변화를 알려준다.
RTP의 핵심 기능은 Relay이다. UDP를 정합성을 보완하는 기능으로 버퍼에서 처리를 한다.
송신측에서 보낸 패킷은 수신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버퍼에서 처리해주며 지연 시간의 분포를 지터라고 한다.
이때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믹싱하여 새로운 동영상을 만드는 Relay를 믹서
수신 환경에 맞게 바꾸어 주는 것을 트랜슬레이터라고 한다.
참고자료 https://copycode.tistory.com/104 , https://m.blog.naver.com/yeopil-yoon/221319637419
SRTP(Secure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Secure + RTP
RTP에 보안기술을 접목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SRTP는 기본적으로 AES 알고리즘을 사용
SRTCP (Secure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SRTP 패킷 스트림 내에 포함되어 주기적으로 세션 내의 latency, Bandwidth 변화 (음성/화상 품질)를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