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WND
- Turn
- gennerator
- stun
- DTLS
- webrtc
- sequence number
- 혼잡 제어
- Simulcast
- 오류 제어
- 서브모듈
- DTSL
- Ice
- mobx
- 브랜치관리
- stop & wait
- acknnowledgement Number
- Selective repeat
- TCP
- RTCPeerConnection
- 흐름 제어
- SFU
- runinnaction
- mcu
- SSL Handshake
- RTCDataChannel
- SCTP
- P2P
- 빠른 재전송
- SRTP
- Today
- Total
목록Turn (2)
조기축구아저씨

WebRTC란 웹에서 별도 플러그인 없이 RTC 실시간 통신(Real time Communication) 하기 위한 Open API ICE(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 Peer 간에 웹 브라우저를 연결해주는 프레임워크 Peer가 Private Ip를 가지는 경우 해결법 : Stun 서버 (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 Stun 서버로부터 public ip를 얻어 configuration에 담아 PeerConnection을 만든다. Peer의 라우터가 Symmetric NAT 제한을 걸어둔 경우 해결법 : Turn 서버 - 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 Peer들이 Behind Symme..

보안 때문에 클라이언트, 서버는 TLS를 통해 SIP Message를 주고 받는다. SIP Message는 통신 시작시 주고 받는 메시지로 통신은 SIP Message로 부터 시작한다. 실제 Media Data는 SRTP를 통해서 주고 받는다. (UDP Base) 사용자와 화상 기능을 사용하려면 연결까지는 TLS + SIP Message 연결 이후 화상 Data는 SRTP로 주고 받는다. SCTP는 UDP, TCP와 동일 layer라고 하였는데 왜 Session Layer 상위에 있을까? SCTP는 IP Layer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 맞지만 WEBRTC의 경우는 DTLS를 통과하게 된다. UDP 베이스 SRTP에 불만이 있어 3세대 프로토콜 SCTP를 사용했을 텐데 왜 DataChannel에만 사..